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고자산회전율은 무엇인가

by |¦))®℗)⁽₽₯₮ 2021. 12. 14.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이 얼마나 빨리 소진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즉 재고관리를 잘하는지 파악하여 경영의 효율성이 좋은 회사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재고자산회전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고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 ÷ 재고자산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

A회사는 매출액 1000만원, 매출원가 500만 원, 기말에 남은 재고가 500만 원입니다. 이때 재고자산회전율은 500만 원 ÷ 500만원 = 1입니다. 1년 주기로 1번 재고가 회전합니다. 인터넷 상에서 재고자산회전율을 구할 때 매출액에 재고자산을 나누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왜냐면 매출액에 마진까지 포함되어 있어 재고의 회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습니다..

 

재고자산회전율은 업종마다 다르고 개별 기업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동종업계 회사들의 재고자산회전율을 비교해서 기업이 경영을 잘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농심과 삼양식품 재고자산회전율 비교

  농심 삼양식품
2018 8.4 15.6
2019 7.9 15.1
2020 8.3 14.7

 

2회사를 단순 비교해보면 삼양식품이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재고자산이 잘 팔리고 재고를 현금화시키는 경영 효율성이 뛰어나다고 판단됩니다.

 

 농심은 삼양식품보다 회사 규모가 2배 이상 크고 매출액도 4배 정도가 차이가 납니다. 이렇게 재고자산회전율과 매출액, 회사 규모를 묶어서 보면 회사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